오전장★테마동향강세 테마 : 지역화폐, 마이데이터, STO(토큰증권 발행), 면역항암제, NFT(대체불가토큰), 유전자 치료제/분석, 정유, 의료AI, 전자결제(전자화폐), 스테이블코인,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석유화학,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비만치료제,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2차전지(소재/부품), 슈퍼박테리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치매, 은행, 쿠팡(coupang), 제약업체, 제대혈,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mRNA(메신저 리보핵산), 핀테크(FinTech), LPG(액화석유가스), 백화점, 탄소나노튜브(CNT), 마이크로바이옴, 면세점, 증권,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퓨리오사AI, 코로나19(진단키트) 등...약세 테마 : 3D 낸드(NAND), 반도체 재료/부품, HBM(고대역폭메모리), LED장비, 반도체 대표주(생산), 전력설비, 반도체 장비, 인터넷 대표주 등...[특징 테마]증권 : 삼성증권·한국금융지주 3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상승▷삼성증권, 전일 장 마감 후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72조원(전년동기대비 -1.54%), 영업이익 4,018.12억원(전년동기대비 +23.97%), 순이익 3,091.74억원(전년동기대비 +28.65%). 이와 관련, 키움증권은 삼성증권에 대해 3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29% 증가한 3,092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와 추정치를 각각 22%, 15% 상회했다며, 증시 상승에 따른 거래대금 증가로 브로커리지 실적이 호조를 보인 동시에 IB 실적 증가가 실적 서프라이즈를 견인했다고 설명.▷한국금융지주, 전일 장 마감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98조원(전년동기대비 +0.71%), 영업이익 8,490.91억원(전년동기대비 +133.57%), 순이익 6,748.67억원(전년동기대비 +114.56%). 이와 관련, NH투자증권은 한국금융지주에 대해 환율변동에 따른 외화환산손실 230억원에도 불구하고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며, 분기별 차이는 있겠으나 중장기 실적흐름은 우상향을 전망한다고 밝힘.▷이 같은 소식 속 삼성증권, 한국금융지주,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대신증권, 유진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DB증권 등 증권 테마가 상승.2차전지 등 : 테슬라, 국내 배터리 소재 업체과 공급 타진 소식 등에 상승▷전일 언론에 따르면, 테슬라 구매팀은 최근 국내 배터리 소재 업체들과 잇달아 접촉하며 공급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는 이미 조달처를 정했고 추가 파트너를 물색 중이며, 국내 한 동박회사와도 수주를 논의중인데 내년도부터 공급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해짐. 테슬라가 확보한 소재들은 미국내 공장에서 사용될 예정. 업계에서는 테슬라의 수직계열화 강화가 단순히 제조 효율성 제고를 넘어, 향후 전기차·에너지·로봇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기술 생태계 통제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하고 있음.▷중국 내 배터리용 동박 1위 업체가 향후 몇 년 동안 동박 산업이 호황을 누릴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았음. 눠더구펀의 천위비 CEO가 전일 중국 장쑤성 쑤저우시에서 개최된 배터리 신에너지 산업 국제 고위 포럼에 참석해 "2023년 4분기부터 동박 업계의 거의 모든 업체들이 적자 상태를 이어왔지만, 올해 들어 산업이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다"며 "현재 리튬 배터리용 동박 산업은 주문 폭증 상태에 진입했다"고 밝힘.▷한편, 언론에 따르면, SKC,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솔루스첨단소재 등 국내 동박 3사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소재 등 신사업 비중을 늘리고 있음. 전기차에 들어가는 동박 수요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자 수익성 높은 ‘부업’으로 보릿고개를 넘기로 한 것임.▷이 같은 소식 속 솔루스첨단소재,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케이이엠텍, 유일에너테크, 삼아알미늄, SKC, POSCO홀딩스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등 테마가 상승.비만치료제 : 美 비만치료제 관련주 상승 영향 및 내년에도 구조적 성장 전망 등에 상승▷지난밤 美 증시가 혼조세로 장을 마감한 가운데, 노보 노디스크(ADR)(+6.99%), 일라이 릴리(+2.27%) 등 비만치료제 관련주는 상승 마감. 특히, 노보 노디스크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간학회(AASLD) 연례 학술대회에서 MASH 환자 8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ESSENCE' 3상 임상시험의 사후 분석 결과를 공개했으며, 분석에 따르면 세마글루타이드를 투여한 환자들은 체중이 2% 이하로만 줄어도 위약을 맞은 환자보다 간 염증이 크게 개선됐다고 알려짐. 필립 뉴섬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교수는 "세마글루타이드의 효과가 단순히 체중 감량 때문만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며, "MASH처럼 대사질환과 연관성이 높은 병에서 의미 있는 발견"이라고 설명.▷아울러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비만 대장주 일라이 릴리 시총 약 0.9조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며(8월 초 대비 +54%), 이는 3분기 비만 실적 서프라이즈와 MFN 약가인하 협상 덕분이라고 분석. 비만 약가(P) 하락(’30년까지 ASP -30~40%)에도 불구하고, 환자(Q) 확장 효과(美공보험 메디케어 80% 커버)가 우세할 것이라며, 2026년에도 비만 구조적 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힘. 또한, 노보 리벨서스 알츠하이머 3상(12/3), 릴리 retatrutide 첫 3상(연말), Structure aleniglipron(케미컬 GLP-1) 2상(연말), 노보 고용량 리벨서스 허가(12/17), 화이자 경구용 GLP-1(연말) 등 비만은 남은 4분기에도 제약바이오 섹터 내 가장 강력한 모멘텀을 보유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언급.▷이 같은 소식 속 인벤티지랩, 일동제약, 펩트론, 대웅제약, 유한양행, 셀트리온제약, 고바이오랩, 제넥신, 올릭스, 한미약품, 대화제약, 디앤디파마텍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제약업체/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 독감, 코로나1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등 트리플데믹 우려 등에 상승▷언론에 따르면, 올겨울 이른 추위가 지속되며 ‘트리플데믹(Triple Demic)’ 즉, 인플루엔자(독감), 코로나1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의 동시 유행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음. 보건당국에 따르면, 독감은 지난해보다 약 두 달 빠르게 유행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질병관리청은 이미 독감 유행 주의보를 발령했으며, A형과 B형이 동시에 또는 비정상적인 계절 패턴으로 출현하는 사례가 늘고 있음.▷코로나19 역시 완전한 종식이 아닌 ‘엔데믹(풍토병)’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새로운 변이 확산과 재감염 사례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음. 여기에 영유아와 고령층을 중심으로 확산 중인 RSV 감염이 더해지면서, ‘트리플데믹’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으며, 특히, RSV는 치료제가 제한적이고 고위험군의 합병증 위험이 높아, 독감이나 코로나보다 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알려짐.▷이 같은 소식 속 그린생명과학, 텔콘RF제약, 유한양행, 대화제약, 국제약품, JW중외제약 등 제약업체, 코로나19,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등 테마가 상승.STO(토큰증권 발행) : 국회 정무위, 토큰증권 법안 심사 착수 전망 등에 상승▷언론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가 이달 중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어 토큰증권 법안 심사에 나서는 것으로 전해짐. 국회 정무위는 이달 24일부터 25일까지 법안심사제1소위원회를 열고, 토큰증권 관련 법안을 통과시킬 예정임. 금융당국이 연내 조각투자 장외거래소(유통 플랫폼) 업체를 선정할 예정인 만큼, 연내 법안이 통과돼야 토큰증권발행(STO)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막하게 되는 것으로 전해짐. 앞서 정무위는 지난 7월 법안소위에서 토큰증권 법안 심사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다른 법안에 밀려 심사가 불발되면서 국정감사 이후인 현시점까지 법안이 통과되고 있지 않은 상태임.▷현재 정무위에는 민병덕, 김재섭 의원 등이 대표발의한 자본시장법 일부 개정안과 강준현 의원이 대표발의한 전자증권법 일부 개정안 등이 계류되어 있음. 모두 적정 요건을 갖춘 발행인에게 블록체인 기술(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한 토큰증권 발행을 가능하게 하고, 유통 시장을 개설해 토큰증권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골자임. 토큰증권 법안은 여야간 이견이 없는 비쟁점 법안으로, 따라서 논의 테이블에만 오르면 연내 통과가 가능한 것으로 전해짐. 이달 법안소위 이후 연내 법안소위가 또 열릴 수 있을지 불투명하기 때문에 이번엔 반드시 통과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큰 것으로 전해짐.▷이 같은 소식 속 갤럭시아머니트리, 핑거, 케이옥션, 갤럭시아에스엠, 서울옥션, 유라클, 뱅크웨어글로벌, 헥토파이낸셜 등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가 상승.소매유통/ 백화점/ 면세점 : 내수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전일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하반기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우리 경제는 수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내수를 중심으로 경기가 완만하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한국금융연구원도 내년 우리 경제가 금융여건 완화와 정부 재정확대 등으로 인한 내수 회복에 힘입어 2.1%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음.▷언론에 따르면,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으로 '반짝'하기는 했으나 전반적인 소비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으면서 경기에 민감한 유통업종이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는 가운데, 이런 분위기를 반전시킬 '때'가 왔다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짐. 전통적인 성수기인 크리스마스 시즌이 다가온 데다가 그간 부진의 주된 요인이었던 면세점 사업의 구조조정 등이 마무리됐다는 이유에서이며, 신세계, 현대백화점, 롯데쇼핑 등이 올해 3분기 실적이 양호했던 점도 이런 전망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증권가에서는 4분기 백화점주(株)의 본격적인 회복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이 같은 소식 속 현대백화점, 신세계, 이마트, 롯데쇼핑, 글로벌텍스프리 등 소매유통/ 백화점/ 면세점 테마가 상승.반도체 관련주 : 소프트뱅크, 엔비디아 주식 전량 매도 소식 및 美 고용지표 악화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48%) 급락 영향 등에 일부 관련주 하락▷전일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이 보유한 엔비디아 주식 전량을 매도했다고 밝힘. 소프트뱅크그룹은 지난달 보유하던 미국 엔비디아의 주식 전량(3,210만 주)을 58억3,000만달러(약 8조5,000억원)에 매각했으며, 이를 통해 3,544억엔(약 3조3,600억원)의 이익을 확정했다고 설명했음. 이번 엔비디아 지분 매각을 두고 시장에서는 오픈AI 등 본격적인 AI 투자에 나서기 위한 ‘총알’ 마련 목적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음.▷11일(현지시간) 미국 민간 고용정보업체 ADP에 따르면, 지난달 25일을 끝으로 4주간 미국의 민간 고용 예비치는 주(週) 평균 1만1,250명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지난주에 ADP가 발표한 월간 고용 보고서(NER)와 결이 다르며, ADP는 10월 민간 고용이 전달 대비 4만2,000명 증가했다고 발표한 바 있음. 넬라 리처드슨 ADP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0월 후반부 동안 노동 시장은 일자리 창출에 계속 어려움을 겪었다"고 설명.▷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마이크론 테크놀로지(-4.81%), 암 홀딩스(-3.29%), 엔비디아(-2.96%), AMD(-2.65%) 등 美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48%)가 급락.▷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원익Q&C, 한솔아이원스, 코미코, 에스티아이, 유니테스트, 피에스케이, 한화비전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오전장 특징주★(코스피)OCI홀딩스(010060) : 4분기 흑자전환 전망 등에 급등▷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 실적은 매출액 8,451억원(+9%qoq, -7%yoy), 영업손실 533억원(적지qoq, 적전yoy), 당기순손실 734억원(적지qoq, 적전 yoy)으로 당사 추정을 하회하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4Q25 실적은 매출액 9,140억원(+8%qoq, +7%yoy), 영업이익 430억원(흑전qoq, 흑전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폴리실리콘 설비 정상 가동으로 흑자 전환을 전망한다며, 동사가 투자하기로 결정한 웨이퍼 사업(2.7GW)은 12월 딜클로징이 예상되며 1월부터 정상 가동할 것으로 전망.▷아울러 내년부터 자체 폴리실리콘 물량 소비(약 6천톤, 전체의 17%)와 Non-PFE 대응 수요 증가로 가동률, 판가 상승 수혜를 기대한다고 밝힘. DCRE는 11월 1,348세대 신규 분양 예정이며 청약 결과에 따라 완만한 실적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7,000원 -> 125,000원[상향]대한조선(439260) : 오버행 리스크 제한적 분석 등에 급등▷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시장의 우려와 달리 가까운 시일 내 대규모 지분 매각으로 인한 오버행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IPO 청약배정 물량중 6개월 보호예수 물량은 상장주식수의 2.8%(108만3527주) 수준이라며, 기관, 외국인 투자자 대부분은 3개월 이하 락업 조건으로 배정받았고, 해당 물량인 331만여 주가 3일 락업 해제됐고 설명. 이어 6개월 락업 물량은 3개월 락업 물량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고, 상장주식수의 2.8%에 불과하기 때문에 청약배정 물량에서의 추가적인 오버행 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밝힘.▷아울러 동사는 글로벌 조선사 중 수익성은 가장 높은 반면 가장 낮은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으며, 주력 선종인 탱커의 업황이 매우 좋아 내년 수주도 강력할 것으로 예상되고, 향후 매력적인 주주환원정책이 제시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설명. 현재 주가 하락은 과도하다고 판단하며, 동사에 대한 강력 매수를 추천한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00,000원[유지]POSCO홀딩스(005490) : 글로벌 리튬 자원 확보를 위한 1.1조 투자 소식에 강세▷우량자원 투자를 통한 리튬사업 원가경쟁력 강화 목적으로 LithiumCo (가칭) 출자증권을 1.11조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 공시. 본 투자는 호주의 Mineral Resources Ltd.가 신규설립하는 리튬 중간지주사의 지분 30%를 동사가 취득하는 건이라고 밝힘.▷언론에 따르면, 이번 투자로 동사는 미네랄 리소스가 운영 중인 워지나(Wodgina)·마운트마리온(Mt. Marion) 광산에서 연간 27만t의 리튬 정광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되며, 이는 수산화리튬 3만7000t 생산이 가능한 규모로 전기차 약 86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양으로 전해짐. 아울러 동사는 이번 지분 참여를 통해 향후 배당 수익 확보는 물론 제련사업으로의 확장도 추진할 계획임.▷이와 관련, 크리스 엘리슨 미네랄 리소스 최고경영자(CEO)는 "온슬로 철광석 프로젝트로 시작된 포스코그룹과의 협력이 리튬 사업으로 확장돼 기쁘다"며 "양사의 강점을 결합해 워지나와 마운트마리온 광산의 가치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힘.더존비즈온(012510) : 서울시에 생성형 AI 플랫폼 공급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서울시의 인공지능(AI) 행정 혁신 사업에 참여해 내부망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 플랫폼 'ONE AI 프라이빗 에디션(PE)'을 공급한다고 밝힘. ONE AI PE는 동사의 'ONE AI'를 기반으로 공공·금융 영역 등 내부망 환경에서 보안과 효율을 확보하며 안전하게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으며, 앞으로 서울시의 인공지능 전환(AX)을 위한 핵심 기술 파트너로서 행정 업무 전 과정의 AI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마트(139480) : 4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514억원(+36% YoY)으로 당사 기대치를 상회(시장 기대치는 부합)했다며,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당사 기대치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프라퍼티(회계기준 변경 영향)와 신세계건설의 영업이익이 각각 395억원(+348억원 YoY), -449억원(+91억원 YoY)으로 당사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설명.▷이어 4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088억원,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962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실질적인 YoY 영업이익 증가는 연결기준 +494억원, 별도기준 +446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고 밝힘. 4분기 별도기준 영업이익 증가는 할인점과 트레이더스의 기존점 매출 성장률 반등에 기인한다고 언급.▷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유지]엔씨소프트(036570) : 아이온2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아이온2에 대한 언론사의 평가가 양호한 가운데, 11월13일부터 진행되는 지스타2025에서 대중들에게 공개되며 기대감이 형성될 전망이라고 밝힘. 또한, 이번 지스타 게임쇼에서 글로벌 대형 IP를 활용해 개발한 게임의 영상도 공개될 예정이라며, 11월19일 아이온2 출시 효과로 4분기 실적은 매출액 4,420억원(+8.0% y-y, +22.8% q-q), 영업이익 211억원으로 흑자전환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지스타 참가를 포함한 마케팅 비용 집행으로 비용은 늘어나겠지만, 매출액 성장으로 만회할 것이라고 밝힘.▷한편, 동사의 3분기 매출액 3,600억원(-10.4% y-y, -5.8% q-q), 영업이익 -75억원(적자지속 y-y)으로 영업이익은 당사 추정치 -40억원 및 시장 컨센서스 -89억원을 충족했다고 설명.▷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0원[유지]효성(004800) : 투자경고종목 지정 속 약세▷전일 장 마감 후 투자경고종목 지정 공시. 투자경고종목 지정일 이후 2일동안 40%이상 상승하고 투자경고 종목 지정전일 종가보다 높을 경우 1회에 한하여 매매거래가 정지될수 있다고 밝힘.오전장 특징주★(코스닥)세종텔레콤(036630) : 감자 결정 후 변경상장 첫날, 감자 소각 대금 지급 소식에 상한가▷감자 결정에 따라 지난 10월23일부터 거래정지 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동사는 지난 8월11일 50.00%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5-10-24, 상장예정:2025-11-12)한 바 있음.▷동사는 지난 27일 감자완료 공시를 통해 강제유상소각으로 감자 완료된 주식에 대하여 주당 6,000원의 소각대금을 2025년11월12일 지급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음.에이비엘바이오(298380) : 일라이 릴리와 3.8조원 규모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 체결 소식에 상한가▷Eli Lilly and Company와 Grabody-B 플랫폼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계약 체결 공시.▷계약 내용은 릴리가 다양한 모달리티(Modality)를 기반으로 당사의 Grabody-B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복수의 비공개 타깃(Target) 후보물질을 개발 및 상업화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 이전임. 총 기술이전 금액은 3조8,072억원이고, 계약기간은 로열티 기간 종료일까지임.대진첨단소재(393970) : 기술유출 논란 해명 속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진행 중인 '기술 유출' 관련 수사와 대해 대주주와 본법인은 해당 사안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밝힘. 이와 관련, 당사의 대주주는 오랜 기간 동안 국내 기술력 향상과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온 인물로, 한국 소재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 왔다며, 이번 수사와 관련된 일부 오해로 인해 회사와 대주주가 불필요한 논란에 휩싸이게 된 점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힘. 이어 현재 진행중인 절차에 성실히 협조할 계획이며, 사실관계가 명확히 규명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 또한, 당사의 사업은 현재 정상적으로 운영 중이며, 거래정지 또는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투명한 공시와 성실한 경영활동을 통해 시장의 신뢰를 지켜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음.▷한편, 이번 사안의 쟁점으로 언급된 케이이엠텍의 '각형 배터리용 Cap Ass'y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의 공식 검토 결과, '국가핵심기술 및 첨단기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확인된 바 있음.지니너스(389030) : 국내 대형 바이오텍과 '인텔리메드'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대형 바이오텍과 유전체 AI 분석 플랫폼 '인텔리메드(IntelliMed™)'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국내 제약, 바이오 산업의 AI기반 연구개발 협력을 본격화하며, 유전체 데이터 분석 기술의 상용화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이와 관련, 동사 박웅양 대표는 "이번 계약은 동사의 유전체 AI 플랫폼이 신약개발 현장에서 실질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사례"라며, "글로벌 제약 수준의 정밀분석 기술을 고도화해 국내외 바이오 기업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노을(376930) : 美 학회서 '마이랩' 성능 입증 속 글로벌 제약사와 협업 논의 본격화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이달 13일(현지시간)까지 캐나다 토론토에서 진행되는 미국열대의학및위생학회 연례학술대회(ASTMH 2025)에서 AI 기반 말라리아 진단 솔루션의 임상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업 논의를 본격화한다고 밝힘.▷동사가 이번 ASTMH에서 공개한 연구는 동사와 가나 CfHSS가 공동으로 가나 내 말라리아 풍토 지역병원 세곳에서 진행한 다기관 임상연구로, 말라리아 의심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nPCR 검사 대비 miLab™ MAL과 현미경 진단의 진단 성능을 평가했음. 연구 결과 miLab은 현미경 진단 대비 우수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냈으며, 말라리아 진단 및 기생충 밀도 측정에서 우수한 정확도와 일관성을 보였다고 알려짐. 또한, miLab은 높은 재현성과 데이터 신뢰성을 모두 갖춘 현장형 진단 플랫폼으로 국가 보건체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 대안으로 평가받았다고 전해짐.▷이와 관련, 임찬양 동사 대표는 "ASTMH는 매년 동사에게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검증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다. 올해는 노을과 긍정적인 논의를 이어왔던 글로벌 제약 기업들과 협력 논의가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그 결과가 조만간 구체적인 형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동사는 선진국과 중저소득국에서 확인된 신뢰도 높은 임상 연구 결과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AI 기반 혈액 및 암 진단 솔루션 miLab의 글로벌 시장 확산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강조.에코글로우(159910) : 20억원 규모 아리바이오 전환사채권 취득 결정 속 급등▷전일 장 마감 후 20.00억원(자기자본대비 12.57%) 규모 주식회사 아리바이오(대한민국) 전환사채권 취득 결정(취득예정일:2025-11-19) 공시. 취득목적은 투자수익 제고 및 사업 시너지 창출임.유일에너테크(340930)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급등▷전일 장 마감 후 유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2,440원임.코오롱생명과학(102940) : 당뇨병성 신경병증 유전자치료제 美 신경과학 학회서 발표 예정 소식 등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11월15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막하는 '미국 신경과학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SfN 2025)'에서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KLS-2031의 최신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한다고 밝힘. 이번 연구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PDPN) 모델을 대상으로 KLS-2031의 통증 완화 효과와 작용 기전을 평가한 것으로, 연구 결과 기존 치료제 대비 장기간 지속되는 진통 효과가 확인된 것으로 전해짐.▷한편,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그린이에스지성장제1호사모투자합자회사 등 대상으로 30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32,820원, 전환청구일:2026-11-26 ~ 2055-10-26) 공시.케이이엠텍(106080) : 산자부 ‘핵심기술 유출 미해당’ 공식 판정 공문 공개 소식에 급등▷동사는 홈페이지를 통해 산업통산자원부가 발급한 공식 공문을 12일 공개해, 정부의 정식 판정 결과, "케이이엠텍의 각형 Cap부품은 국가핵심기술에도 해당하지 않고 첨단기술에도 해당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확히 밝힘. 산자부 공문에는 '해당 Cap Ass’y 기술은 국가핵심기술 및 첨단기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명시되어 있으며, 이는 산자부의 정식 검토 및 심사 절차를 거친 행정 판단 결과임. 즉, 정부가 이미 공식적으로 “해당 기술이 국가 핵심기술이 아니다”라고 판정했음에도, 검찰이 이를 ‘국가 핵심기술 유출’로 규정한 것은 정부의 행정 판단과 명백히 상충되는 해석이라는 것이 회사의 입장임.▷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정부 부처의 객관적 판정 결과를 토대로 향후 수사나 산업정책 논의가 보다 일관된 기준 아래 진행되길 바란다"며 "회사와 임직원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법적·행정적 절차는 검토하되, 모든 과정은 법과 절차에 따라 투명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밝힘.지아이이노베이션(358570) : 식약처서 'GI-102' 난소암 대상 치료목적 사용승인 소식에 급등▷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개발중인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GI-102(CD80-IgG4 Fc-IL2v3)’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목적 사용승인을 받았다고 전해짐. GI-102는 지난 10일 연세대의대 세브란스병원에서 난소암 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치료목적 사용승인을 받았는데 난소암을 대상으로 치료목적 사용승인을 받은 것은 올해 6월 이후 두번째라고 알려짐.재영솔루텍(049630) : 3분기 호실적에 급등▷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44.22억원(전년동기대비 +81.91%), 영업이익 38.56억원(전년동기대비 +197.70%), 순이익 44.7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고가의 OIS 매출 급증과 수율 안정화로 3분기 매출과 수익성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며, "하이브리드 OIS 양산, 차기 모델 개발 참여 확대 등 액추에이터 시장 내 선도적 지위가 구축된 만큼 실적 호조세는 4분기와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라고 언급. 이어 "연구개발 확대와 생산 효율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토대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위메이드 그룹주 : 위메이드, 3분기 실적 호조 및 내년 신작 출시 기대감 등에 강세▷전일 장 마감 후 위메이드,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36.48억원(전년동기대비 -23.65%), 영업이익 263.08억원(전년동기대비 -49.20%), 순이익 573.60억원(전년동기대비 +59.83%).▷이와 관련, 미래에셋증권은 위메이드에 대해 게임 매출액이 예상치를 15% 상회했는데, 캐주얼 타이틀 2종(로스트소드, 악마단 돌겨억!)의 글로벌 출시 효과에 기인한다고 분석. 이어 중국 매출액(미르 지식재산권(IP) 관련 500억 원)이 인식된 라이선스 매출액은 548억 원으로 예상치를 7% 상회했다며, 블록체인 매출액은 전년 대비 23% 줄어든 8억 원을 기록했고, 전 분기 일회성 요인이 제거된 인건비는 전 분기 대비 7%감소한 566억 원이었다고 밝힘.▷아울러 10월28일 글로벌 출시된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은 위믹스 플레이에서 16만 명의 동시 접속자 수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추세를 보인다고 언급. 올해 말에는 미르M 중국 출시를 계획대로 진행할 예정으로 내년 상반기에는 미드나잇워커스, 미르4 중국, 미르5를 출시할 계획이라며, 나이트크로우2도 26년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이라고 밝힘. 이어 위메이드는 스테이블코인 영역에서도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라며, 9월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으며 최근 원화 스테이블코인메인넷 '스테이블넷'을 공개한 바 있어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는 상황으로 내년 1분기 원화 스테이블코인 메인넷을 정식으로 런칭할 예정이라고 설명.▷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8,000원[유지]▷또한, 위메이드플레이,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10.83억원(전년동기대비 +7.08%), 영업이익 33.84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42.0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위메이드맥스,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81.59억원(전년동기대비 +100.98%), 영업손실 117.4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87.0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종목]: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에이치시티(072990) : 3분기 실적 호조 및 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 등에 강세▷전일 장 마감 후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80.67억원(전년동기대비 +15.95%), 영업이익 44.52억원(전년동기대비 +61.12%), 순이익 32.91억원(전년동기대비 +43.52%).▷아울러 보통주 1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5-11-27, 상장예정:2025-12-16) 공시. 121.90억원(자기자본대비 12.91%) 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 공시.펄어비스(263750) : 3분기 흑자전환 등에 강세▷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68.18억원(전년동기대비 +34.44%), 영업이익 106.1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89.95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영업이익은 검은사막 대규모 업데이트 효과에 따른 게임 매출 증가 및 외환 환산 이익 등으로 흑자 전환했다"며, "검은사막이 견고한 매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이브 온라인’은 확장팩 ‘리전(Legion)’의 추가 업데이트를 통해 이용자 경험을 확장하며 안정적인 성과를 이어갔다"고 밝힘.▷아울러 허진영 동사 CEO(최고경영자)는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신작 '붉은사막'의 추가 출시 지연 가능성에 관해 "지난 9월 발표한 출시일인 내년 3월20일은 여러 가지 상황을 확인해 오랜기간 심사숙고한 날짜"라며, "현재 순조롭게 출시를 준비하고 있고 프리오더(예약구매)도 시작된 만큼 많은 이용자 기대에 부흥할 수 있도록 일정을 맞춰 출시하겠다"고 설명. 이어 허 CEO는 "당사는 트리플A(블록버스터)급 게임의 프리오더를 경험한 적이 없어 현재 판매량 수준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다"면서도 "파트너사들로부터 다른 신규 트리플A와 비슷한 판매량이 나왔다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고 밝힘.데브시스터즈(194480) : 보통주 74,000주 소각 결정에 상승▷보통주 74,000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11-19) 공시. 소각예정금액은 27.01억원 규모임.▷한편,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48.76억원(전년동기대비 -23.81%), 영업손실 7.2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이익 16.39억원(전년동기대비 -88.57%).삼영에스앤씨(361670) :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용 센서 본격 공급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용 센서 공급을 본격 확대하며 수소 경제 시대 핵심 센서 기업으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힘. 현재 국내 주요 수소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에 센서를 양산 공급해 실사용환경에서 성능을 검증했다며, 특수 환경 운용 플랫폼에서도 제품 승인 및 양산공급이 시작되고 있어 단순 연구개발 수준을 넘어 실제 현장 적용을 통해 성능이 입증된 사례라고 언급.▷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고객 현장 기반의 검증 전략을 유지하며 단계적인 확장에 나설 것"이라며 "기술·품질 중심의 접근을 통해 수소 센서 시장에서 지속적인 신뢰를 쌓아가겠다"고 밝힘.미투온(201490) : 3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27.15억원(전년동기대비 +2.52%), 영업이익 33.35억원(전년동기대비 +48.88%), 순이익 30.42억원(전년동기대비 +13.63%).M83(476080) : 관계기업 김프빌(Gimpville), 美 할리우드 시장 본격 진출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가 최대주주로 있는 노르웨이의 대표 VFX 및 애니메이션 제작사 김프빌(Gimpville)이 첫 장편 애니메이션 '바이퀸즈(ViQueens)'를 통해 미국 할리우드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밝힘. 이번 작품은 동사의 전략적 콘텐츠 투자 가운데 하나로, 자회사 모터헤드(Mortarheadd) 또한 제작에 참여하며 내부 제작 시너지를 극대화한 것으로 전해짐. '바이퀸즈'의 글로벌 배급은 고품질 장편 애니메이션 유통에 특화된 독일의 솔라미디어(Sola Media)가 맡은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정성진 동사 대표는 "우리는 오랜 시간 협업을 통해 김프빌의 기술적 역량과 잠재력을 확인하고, 동반성장의 파트너로서 함께해왔다. 이번 '바이퀸즈'는 애니메이션 제작사로서 김프빌이 할리우드에 진입을 가시화하는 첫 단계"라며, "앞으로 M83그룹은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영화 분야에서도 단계적이고 점진적으로 할리우드 동반 진출을 함께 해나갈 것"이라고 밝힘.알피바이오(314140) : 급격한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독립리서치 불릿은 동사에 대해 유효 성분 안정성 등을 높인 연질캡슐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가운데, 치매 예방 및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까지 확보하고 있어 향후 급격한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다양한 제형과 원료를 확보하고 있다며, 캡슐형 외에도 젤리스틱, 츄어블, 분말스틱 등 다양한 제형 라인업을 개발했으며, 기존 제형과 달리 물이 필요없고 약의 쓴맛을 줄여 섭취하기 용이하여 다양한 연령층에서 선호한다는 것이 강점이라고 분석. 이어 동사는 치매 예방 영양제로 인정받은 커큐민 원료 및 관련한 국내 독점 생산 권한을 확보했다며, 기존 치매 예방약으로 알려진 콜린제제가 본인 부담률이 80%까지 확대되며 대체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아울러 지난 8월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의 연구개발 성과와 사업화 현황을 공개했다며, 천연물 원료의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등 유의미한 시험 결과를 도출한 것은 물론, 안정성도 입증했다고 언급.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를 커피,과자,소스 등 여러 식품 유형에 사용해 일반 식품 시장으로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진출을 계획하고 있어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뷰웍스(100120) : 의료영상 처리 소프트웨어 '브이엑스뷰' 美 FDA 승인 획득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의 디지털 의료영상 획득 및 처리 소프트웨어 '브이엑스뷰(VXvue)' 제품이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시판 전 허가(510K) 승인을 획득했다고 밝힘. 이로써 동사는 북미 시장에 엑스레이 디텍터 및 전용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시스템 일체를 공급할수 있게 돼, 시장 경쟁력을 더욱 확보하게 됐으며, 창사 이래 처음으로 FDA로부터 AI 기반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로 승인을 획득한 것임. 특히, 기존보다 강화된 당국의 심사 기준에 맞춰 시판 의료기기와의 동등성, 품질관리 절차와 사후관리 체계를 입증하는 등 기술 역량과 신뢰성을 확보.▷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FDA 승인으로 뷰웍스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글로벌 기술 우위를 갖춘 기업임을 증명했다"며 "저선량 방사선 촬영, 병원 내 데이터 관리, 협진 용이성 등 최근 헬스케어 트렌드에 부합하는 고부가가치 제품을 꾸준히 선보이는 한편, 관련 규제 변화에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힘.휴엠앤씨(263920) : 마사지 기능 탑재 '탈모케어 제품 용기' 특허 취득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유체 토출 커버 및 이를 포함한 펌프형 유체용기'에 대한 국내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힘. 이번 특허는 제품을 효과적으로 도포하고 두피 마사지를 병행할 수 있는 기능성용기에 대한 기술이며, 탈모 관리 제품의 흡수력을 높이고 사용 편의성을 개선한 것이 특징임. 이와 관련, 이충모 대표는 "탈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젊은 세대로 확산하는 추세에 따라 최적의 기능성 용기를 개발하고 특허를 등록했다"며 "탈모제품 시장의 성장에 발맞춘 신제품 개발로 다수의 화장품 및 두피케어 브랜드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밝힘.솔트룩스(304100) : 자회사 구버, 글로벌 투자 행사서 국내 피칭 대회 우승 소식 속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구버’(Goover)가 세계적인 스타트업 축제이자 글로벌 투자 행사인 ‘SPARK 2050’의 국내 피칭 대회에서 우승했다고 밝힘. 구버는 이번 우승으로 내년 2월 두바이에서 열리는 ‘그랜드 파이널’에 초청받은 대한민국 3개 팀 중 하나가 됐다며, 그랜드 파이널에서는 총 5만 달러의 상금을 놓고 전 세계 15개국 유망 스타트업들과 경쟁할 예정이라고 언급.가비아(079940) : 3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전일 장 마감 후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05.81억원(전년동기대비 +22.12%), 영업이익 75.43억원(전년동기대비 +27.48%), 순이익 46.55억원(전년동기대비 +6.86%).조이웍스앤코(309930) : 호카 오프라인 리테일 사업 매출 성장세 소식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퍼포먼스 러닝 브랜드 '호카(HOKA)'의 국내 오프라인 리테일 사업을 이관받은 첫 달부터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고 밝힘. 지난 10월1일부로 이관된 호카 리테일 사업 10월 매출은 전월 대비 약 19% 증가하며, 안정적인 출발을 보인 가운데, 올해 1~10월 누적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약 34% 성장하며 전체적인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언급.▷이번 결과는 호카 오프라인 리테일 사업이 동사로 이관된 이후 처음으로 공개된 실적으로, 운영 체계의 빠른 안정화와 매출 개선이 가시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힘.▷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사업 이관 첫 달부터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며 "리테일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해 향후 성과로 연결시킬 것"이라고 밝힘.고스트스튜디오(950190) : 3분기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09.03억원(전년동기대비 +4.16%), 영업이익 42.64억원(전년동기대비 +36.14%), 순이익 43.37억원(전년동기대비 +21.14%).대양전기공업(108380) : 행동주의 펀드 쿼드자산운용, 공개 서한 발송 소식 속 소폭 상승▷쿼드자산운용은 11월 10일 코스닥 상장사인 동사에 기업의 성장을 주주 전체가 공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공개서한을 발송. 쿼드자산운용은 동사의 2025년 실적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됨에도 시장에서 저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대주주가 보유한 비상장 기업인 대양전장의 인수 또는 합병, 주주이익 극대화를 위한 자사주 소각, 배당 확대를 제안.▷이에 대해 IBK투자증권은 쿼드자산운용이 보유한 4%는 서영우 대표가 보유한 지분 규모 대비 현저히 낮아 서영우 대표의 지배력을 약화시킬 순 없지만, 최근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했을 때 주주공개 서한을 무시하고 넘어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 특히, 동사는 2Q25기준 1,185억 원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중이며, 배당에 충분한 재원을 이미 보유하고 있어 배당 확대 가능성은 높다고 분석. 또한, 대주주 지분율이 높아 배당분리과세 25%로 완화 시 일반주주, 최대주주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 값이 도출될 것으로 판단.이스트소프트(047560) : 3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전일 장 마감 후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9.34억원(전년동기대비 -0.01%), 영업손실 44.7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48.2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매출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영업손실은 마케팅 및 선제적 투자의 영향으로 확대됐다고 밝힘.원익QnC(074600) : 3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전일 장 마감 후 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02.69억원(전년동기대비 +2.28%), 영업이익 80.00억원(전년동기대비 -73.26%), 순이익 25.85억원(전년동기대비 -80.18%).▷이와 관련, 신한투자증권은 추정치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이 각각 2%, 54% 하회했다고 밝힘. 실적 부진 이유는 모멘티브 일회성 비용 약 65억원 발생으로 추정.▷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7,000원[유지]@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11-12 11:28:01조회수: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