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1644-0147

투자전략&톡속보

오후장★테마동향강세 테마 : 마리화나(대마), 면역항암제, 비만치료제, 정유, LED장비, 치매,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줄기세포, 탈모 치료, 유전자 치료제/분석, mRNA(메신저 리보핵산), 제대혈,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제약업체,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백화점, 슈퍼박테리아, 리튬,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카메라모듈/부품, 전선, 전기차(충전소/충전기), 콜드체인(저온 유통) 등...약세 테마 : 조선, 증권, 반도체 대표주(생산), 조선기자재, 피팅(관이음쇠)/밸브, 자동차 대표주, 지역화폐, 뉴로모픽 반도체, 퓨리오사AI, 국내 상장 중국기업, LNG(액화천연가스),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자율주행차,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STO(토큰증권 발행), 키오스크(KIOSK), 화학섬유,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인터넷 대표주, 건설기계, 항공기부품, 셰일가스(Shale Gas) 등...[특징 테마]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 내년 AI 예산 약 10조원 편성 소식 및 오픈AI, AWS와 380억 달러 규모 클라우드 계약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이재명 대통령이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해 시정연설을 진행. 이 대통령은 "정부가 마련한 내년도 예산안은 바로 인공지능(AI) 시대를 여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예산안"이라며 국회 처리에 대한 초당적 협력을 당부했으며, 박정희 대통령이 산업화의 고속도로를 깔고, 김대중 대통령이 정보화의 고속도로를 낸 것처럼, 이제는 AI 시대의 고속도로를 구축해 도약과 성장의 미래를 열어야 한다"고 밝힘.▷이어 구체적인 예산 편성 원칙과 관련, "총지출을 올해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으로 편성한 가운데,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대전환에 10조1천억원을 편성했다"며 "이는 올해 예산 3조 3천억 원보다 3배 이상 늘어난 규모"라고 설명. 아울러 "피지컬 AI 선도 국가 달성을 위해 국내의 우수한 제조 역량과 데이터를 활용해 중점사업에 집중 투자하겠다"고 언급했으며, 로봇, 자동차, 조선, 가전·반도체, 팩토리 등 주요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AI 대전환에 향후 5년간 약 6조 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도 밝힘.▷한편, 3일(현지시간) 오픈AI가 AWS와 7년간 380억 달러(약 54조원) 규모의 신규 클라우드 사용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오픈AI는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십만 개를 탑재한 AWS의 '아마존 EC2 울트라서버'의 컴퓨팅 인프라를 즉시 활용하게 되는 것으로 전해짐. 오픈AI는 이렇게 확보한 컴퓨팅 파워를 챗GPT의 추론 서비스부터 차세대 모델 훈련까지 다양한 작업에 할당할 수 있으며, AI 에이전트가 수행하는 대규모 작업도 빠르게 늘려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AWS와의 협력은 차세대를 이끌 컴퓨팅 생태계를 강화하고 더 많은 사람에게 첨단 AI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힘.▷이 같은 소식 속 노타, 아티스트컴퍼니, 마음AI, 삼성에스디에스, 씨메스, 큐렉소, 휴림로봇, 에스투더블유 등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가 상승.석유화학 : 구윤철 기재부 장관, 석유화학 사업 재편 부진 관련 경고 속 상승▷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민관이 함께 석유화학산업의 재도약도 이뤄내야 한다”며 석유화학 업계의 자율 구조조정과 관련해 “지금이 마지막 기회로, 연말까지가 골든타임”이라고 수위 높은 경고를 했음. 특히, “일부 산단과 기업의 사업재편이 여전히 지지부진해 업계 진정성에 시장의 의구심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업계 스스로 약속한 시한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모든 산단과 업계는 속도전을 펼쳐달라”고 당부했음. 이어 “뼈를 깎는 자구노력과 타당성 있는 사업재편은 정부도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며 ”먼저 사업재편을 추진하는 산단·기업에는 더 빠른 지원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언급.▷이 같은 소식 속 SK케미칼, 대한유화, 롯데케미칼, 삼양사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폴더블폰 : 북미 폴더블 스마트폰 제품 양산 본격화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내년 하반기 북미 Smartphone의 Foldable 출시에 대한 Timeline은 예정대로 순항 중이라며, 업체별 차이가 있지만 모든 업체가 P1-P2(Prototype Test) 단계를 진행 중이고, 제품 스펙과 관련된 큰 윤곽은 이미 결정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Prototype Test 이후 EVT가 진행될 예정이고 최종 스펙이 결정되면 Fab 내 시운전 및 양산을 위한 최종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며, 관련된 물량 수주는 이르면 연내 늦어도 연초에는 확보될 것으로 예상. 이에 맞춰 Supplier들은 생산 대응을 위한 인력 충원 및 생산 설비 준공을 위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아울러 시장에서 우려하는 신제품 출시 지연 이슈는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된다며, 제품 스펙에 대한 합의가 마무리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샘플 제품 역시 지속 출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 현재 Supply-Chain 내 업체들의 준비 동향을 확인하였을 때, 이는 기우로 판단되며 패널 업체의 Foldable 패널 물량 역시 내년 1,000만대 이상 공급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이 같은 분석 속 동운아나텍, 테이팩스, 파인엠텍, PI첨단소재, KH바텍, 이녹스첨단소재 등 일부 폴더블폰 테마가 상승.오후장 특징주★(코스피)자이에스앤디(317400) : 3분기 호실적에 급등▷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029.90억원(전년동기대비 +7.22%), 영업이익 283.54억원(전년동기대비 +1,039.17%), 순이익 374.40억원(전년동기대비 +913.80%).한올바이오파마(009420) : 바토클리맙 가치 재평가 필요 분석 등에 상승▷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9월3일 바토클리맙 Disease modifying 효능 입증으로 출시 가능성이 확대되었다고 분석. 특히, 바토클리맙 24주 투여 이후 투약을 중단하더라도 효능은 지속됨을 확인하여 LDL 상승 이슈는 투약 24주에 국한됨을 입증하였으며, 따라서 향후 적응증 경쟁 상황에 따라 바토클리맙 출시 가능성이 다시 열렸다고 설명.▷아울러 갑상선안병증(TED, Thyroid Eye Disease) 적응증으로 출시될 경우 바토클리맙은 first-in-class로서 최대 $3.7bn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이뮤노반트도 TED 결과 확인 후 바토클리맙 최종 개발 전략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하며, 따라서 12월에 발표될 TED 임상 3상 데이터는 바토클리맙 출시 여부를 결정지을 핵심 데이터가 될 것으로 판단.▷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0,000원 -> 50,000원[상향]현대그린푸드(453340) : 3분기 호실적에 상승▷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171.00억원(전년동기대비 +2.57%), 영업이익 445.00억원(전년동기대비 +16.18%), 순이익 375.00억원(전년동기대비 +22.95%).세아베스틸지주(001430) : 3분기 호실적에 상승▷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259.09억원(전년동기대비 +4.80%), 영업이익 267.37억원(전년동기대비 +9.47%), 순이익 336.46억원(전년동기대비 +195.94%).▷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수출 여건 악화 및 수요산업 부진에도 주요 자회사의 적극적 영업 활동에 힘입어 전년 대비 실적이 증가했다"고 설명.고려아연(010130) : 검찰, '유상증자 부정거래 의혹' 추가 압수수색 소식에 소폭 하락▷언론에 따르면, 지난해 2조5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추진 과정에서 불공정거래 의혹을 받는 동사에 대해 검찰이 추가 강제수사에 나선 것으로 전해짐.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김진호 부장검사)는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동사의 본사와 KB증권, 미래에셋증권, 하나은행 등 일부 부서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는 지난 4월에 이은 두 번째 압수수색이며, 검찰은 동사가 지난해 10월 대규모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투자자를 속이는 등 부정거래 행위가 있었다고 의심하고 있음.오후장 특징주★(코스닥)M83(476080) : '한·중 VFX 베이스 공동 구축' 프로젝트 관련 MOU 체결 소식에 급등▷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엎고 '세계 최대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는 것으로 전해짐. 동사 본사에 중국 베이징시 통저우구(北京市通州区) 정부 인사들이 지난 일요일에 방문했으며,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으로 전해짐. 해당 양해각서에는 동사가 중국 베이징시 통저우구 현지에 지사를 설립하게 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른바 '한·중 VFX 베이스 공동 구축' 프로젝트인 것으로 전해짐.▷이번 협약의 목적은 베이징시 통저우구를 거점으로 한국과 중국 시각효과 산업의 국제적인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으며, 양측은 베이징 지사 설립을 통해 VFX 기술의 연구개발(R&D)과 영상 제작 및 관련 사업을 전개할 예정임. 특히, 주목할 점은 중국 정부 하에 진행된다는 점이며, 따라서 동사는 공공기관 산업단지 내 사무공간과 네트워크를 비롯한 각종 인프라와 행정·정책 연계, 클러스터 자원 공유가 단계적으로 제공받게 되는 것으로 전해짐.태성(323280) : 복합동박 첫 공급계약 기대감 등에 급등▷김종학 동사 대표는 일부 언론을 통해 "사명은 밝힐 수 없지만 국내 기업 A사와 복합동박 소재 공급을 놓고 협상이 마무리 단계"라며 "빠르면 이달 내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비밀유지 합의가 되어 있어 사명은 못 밝히지만 국내 대기업 2곳과의 계약이 빠르면 이달 중 나올 수 있다"며 "가격 협상도 이미 끝났고 납기와 구체적인 라인 셋팅 시기를 논의 중인 단계이고, 고객사 대부분이 늦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납품 완료를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언급.닷밀(464580) : 3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분기보고서를 통해 25년3분기 실적 발표. 매출액 137.90억원(전년동기대비 +84.33%), 영업이익 17.97억원(전년동기대비 +74.40%), 순이익 18.74억원(전년동기대비 +108.99%).▷이와 관련, 동사 정해운 대표는 "3분기 실적은 동사가 질적 성장 단계를 진입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2025년은 동사가 본격적으로 시장의 재평가를 받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이번 실적과 관련한 주주서한을 통해 회사의 비전과 향후 성장 전략을 직접 공유하며 주주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라고 언급했음.모델솔루션(417970) : 3분기 호실적에 소폭 상승▷25년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05.16억원(전년동기대비 +24.12%), 영업이익 33.13억원(전년동기대비 +99.09%), 순이익 30.71억원(전년동기대비 +88.52%).넥써쓰(205500) : 3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1.94억원(전년동기대비 +88.71%), 영업이익 3.11억원(전년동기대비 -70.21%), 순손실 1.4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휴젤(145020) : 3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25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58.98억원(전년동기대비 +0.75%), 영업이익 474.02억원(전년동기대비 -11.19%), 순이익 380.44억원(전년동기대비 -9.48%).@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11-04 14:54:06조회수:150